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5월 청년도약계좌 신청 방법 완전 정리 (2025년 기준)

by 블루밍1 2025. 5. 2.
반응형

 

📌 청년도약계좌란?

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부터 34세 이하의 청년들이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기여금을 지원하고,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5년 만기 적금 상품입니다. 이를 통해 청년들은 안정적으로 목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 


✅ 가입 조건

1. 연령 요건

  •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
  • 군 복무자의 경우 복무 기간만큼 연령 제한 연장 (최대 6년) 

2. 소득 요건

  • 개인소득: 근로소득 연 7,500만 원 이하 (정부기여금은 연 6,000만 원 이하까지만 지원)
  • 가구소득: 중위소득 250% 이하 (4인 가구 기준 월 1,300만 원 이하) 

※ 연봉 6,000만 원 초과 시 정부기여금은 지원되지 않으며, 비과세 혜택만 적용됩니다.


🗓️ 신청 기간 및 방법

신청 기간

  • 2025년 5월 2일(금) ~ 5월 16일(금) (영업일 기준) 

신청 방법

  1. 모바일 신청: 각 은행의 모바일 앱에서 '청년도약계좌' 검색 후 신청
  2. 은행 방문: 직접 은행을 방문하여 신청 

신청 가능 은행

  • 시중은행: 국민, 신한, 우리, 하나, 농협, 기업은행
  • 지방은행: 부산, 경남, 전북, 광주은행 등 

💰 납입 금액 및 정부 기여금

월 납입 금액

  • 월 1천 원부터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설정 가능 

정부 기여금 지원 기준 (2025년 기준)

※ 정부 기여금은 납입한 다음 달 10영업일 이내에 지급되며, 당월 입금하지 않으면 해당 월의 기여금은 소멸됩니다. 


📈 이자 및 만기 금액

이자 구조

  • 3년간 고정 금리: 은행별로 상이하며, 기본금리 + 우대금리 적용
  • 이후 2년간 변동 금리: 시장 금리에 따라 변동

은행 기본금리 최대 우대금리

농협은행 4.5% 1.0%
신한은행 4.5% 1.0%
국민은행 4.5% 1.0%
우리은행 4.5% 1.0%
하나은행 4.5% 1.0%
기업은행 4.5% 1.0%
대구은행 4.0% 1.5%
부산은행 4.0% 1.5%
경남은행 4.0% 1.5%
광주은행 3.8% 1.7%
전북은행 3.8% 1.7%

만기 수령 금액 예시 (월 70만 원 납입 기준)

연소득 구간 예상 만기 수령액

2,400만 원 이하 약 5,000만 원
~3,600만 원 약 4,800만 원
~4,800만 원 약 4,600만 원
~6,000만 원 약 4,400만 원
6,000만 원 초과 약 4,200만 원

※ 실제 수령액은 납입 기간, 이자율, 정부 기여금 지원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 


⚠️ 유의사항

  • 중도 해지 시: 3년 이상 유지하면 정부 기여금의 60%를 지급받을 수 있으며, 비과세 혜택도 유지됩니다.
  • 부분 인출: 2025년 하반기부터 일부 허용 예정입니다.
  • 특별 해지 사유: 주택 구입, 결혼, 출산, 장기 입원, 사업 폐업, 천재지변 등은 위약금 없이 해지 가능합니다.
  • 일시납입: 청년희망적금 만기 수령금을 활용하여 일시납입이 가능하며, 월 설정 금액의 배수로 납입해야 합니다. 

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안정적인 자산 형성을 위한 유용한 금융상품입니다. 자신의 소득 수준과 재정 계획에 맞춰 적절히 활용하시기 바랍니다. 

반응형